다음 세대 리더를 꿈꾸며

▲ 앤디 스탠리 저, 윤관희 역, 국제제자훈련원(DMI), 2004-12-30, 219쪽, 8500원
넥스트를 열며

좋은 스승을 만나면 바른 삶을 살 수 있고, 좋은 책을 만나면 바른 정신을 소유할 수 있는 것 같다. 리더십에 관련된 서적에 관해 목회현장에 있는 사람이라면 모두 관심을 갖는 분야일 것이다. 또한 리더십에 관련된 많은 책을 읽게 된다. 「넥스트」도 이런 점에서는 별다른 차이가 없는 것 같다.

처음 책을 펼치는 순간 또 리더십에 관련된 책이라는 생각으로 읽고 싶은 마음이 줄어들었다. 하지만 서문을 읽는 중에“러더십의 성공은 바로 계승”이라는 문장에서 나를 흥분하게 만들었다.

지금까지 리더십의 자질과 정의에 대해 설명은 많이 했지만 자신에게만 적용하고 끝나는 것이 대부분이고, 그에 따른 책임감도 결여되어 있다는 생각이 들었었다. 하지만「넥스트」의 저자 앤디 스탠리는 훌륭한 리더십의 성공은 다음세대에게 얼마만큼 잘 계승하느냐를 지적하는 점에서 매력을 느끼게 되었다.

자신의 성공에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좋은 자질을 다음 세대에게 전하고자 하는 마음이 이 책을 끝까지 읽게 만들었던 것 같다.

넥스트를 접하고

리더의 기본적인 자질에 관해 말하는 자료는 셀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사회과학 도서에서 리더십에 관련된 책을 찾아보면 금 새 알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직접적으로 와 닿는 책은 드물다. 왜냐하면 현장이 다르고 경험하는 것이 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넥스트의 저자 스탠리는 목회선배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현장의 경험을 누구에게나 적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기에 관련성을 찾을 수 있는 것 같다.

저자는 자신이 리더가 되어서 겪은 내용을 바탕으로 차세대 리더가 될 후배들에게 갖추어야할 덕목을 체계적으로 정리를 했다. 중요한 5가지의 자질을 읽으면서 “맞아, 나도 이런적이 있는데, 그래 이렇게 해야 하겠구나”라는 다짐을 하게끔 한다.

전체적으로 공감을 하면서 특히, 용기에 대한 부분에서 많은 도전을 받게 되었다. 그 이유는 나에게 가장 부족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문제의 큰 산을 만나면 두려워하는 나의 모습을 종종 발견하기 때문일 것이다. ‘아니오’라고 말을 해야 하는 부분에서 분위기 때문에 혹은 권위에 눌려서 ‘예’라고 말하는 경향이 많았다. 이로 인해 오는 다음의 두려움보다 현재의 위기를 모면하려는 연약함에서 스스로 반성하는 계기가 되는 것같다.

진정한 리더의 모습은 부정직앞에서 담대함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하지만 알면서도 뚜렷한 자신의 의견을 세우지 못하는 부분에 있어 이 책을 도전을 준다.

사람들에게는 자신에게 부여된 능력이 있다. 하지만 부여된 능력을 중시하기보다는 다른 사람에게 있는 능력만을 쫓는다. 그로 인해 많은 시간을 허비하게 된다. 이런 점을 지적하면서 저자는 자신에게 있는 장점을 최대한 개발해서 추진해 나갈 때 좋은 결과를 예상할 수 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자신의 장점을 살려서 밀고 나가기보다 다방면에서 다재다능한 사람이 되므로 인정받고 싶어 한다. 또한 주변에서도 다재다능한 사람을 칭찬하고 세워주는 모습에서 자신을 과대포장해서 표현할려고 하기에 문제가 되는 것이다.

자신의 강점을 포착해서 실천하는 것이 현명 하다는 것이다. 많은 일을 펼치는 것보다 자신에게 주어진 최소한의 일을 나만의 장점을 통해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장점이 선행되기 위해서는 저자는 자신의 장점이 무엇인지 객관적으로 평가할 것을 권유한다. 바로 많은 사람들이 지나쳐 버리는 점이라고 생각이 든다. 자신의 장점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지 못하는 것이다. 나에게도 이 부분이 선행되고 있지 않다. 주어진 질문에 대해 ‘대충 넘어 가거나, 다음에 하자, 다 아는 내용을 새삼스럽게’ 라며 넘어가서 문제가 된다. 자신의 장점을 객관적이고 냉철하게 찾는 일이 중요하다. 그럴 때 자신의 강점이 나타나고, 효율적인 열매가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리더가 되고자 해서 리더가 되기보다 상황과 위치가 리더로 인도하는 경우가 있다.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일을 결정해야 할때가 있고, 그 일이 과연 맞을까? 라는 의구심을 품고 진행해야 할 경우도 있고, 만약 결정 했다가 실패하면 어떻게 하나 하는 불안감을 갖고 추진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런 점에 대해 저자는 자신의 경험을 통해 불확실한 상황에서 두려움으로 인해 포기하기보다는 불확실성을 인정하면서, 그 가운데서 명확한 결정을 내릴 때 리더로서의 자질이 생긴다고 피력한다.

다시 말해서 어떤 일을 결정할 때 자신의 한계는 인정하되 결정에 있어서 미적거려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사역을 하면서 이런 경우가 자주 있다. 리더로서 문제를 결정해야 하는데 불안함 속에서 결정을 한 후, 혹 “잘못되면 어떻게 하지”라는 걱정과 “많은 사람들로부터 욕을 먹을 텐데”라는 근심이 나를 엄습할 때가 한 두 번이 아니다.

그러나 저자는 이런 생각들은 누구에게나 있는 현상이고 그 현상을 극복하지 못하면 평범한 사람으로 남을 뿐임을 지적하면서 리더는 불확실한 미래 앞에서 두려움 보다는 분명한 목표를 갖고 명확한 결정을 내릴 것을 요구한다.

저자의 경험을 통해 나의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는 것 같다. 중요한 결정 앞에서 결과에 대해 지나치게 두려워한 나머지 제대로 결정도 못하고 망설이다가 다른 사람들에게 답답함을 준적이 한 두 번이 아니다. 바로 문제는 결정을 내리는데 있어 결과보다는 명확한 결정을 앞에 있는 사람이 어떻게 내려 주느냐가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런 나를 따르는 사람들은 얼마나 답답했을까? 라는 고백이 나오게 한다.

리더는 그냥 만들어 지는 것이 아니다. 좋은 리더는 혼자 독불장군처럼 칼을 휘두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팀원들과 협력할 때 가능하다. 팀원들의 격려와 평가 앞에 겸허하게 수긍할 때 리더의 진정한 모습이 표출되는 것이다.

아무리 훌륭한 선수라도 자신의 결함을 지적해주는 코치가 있듯이 훌륭한 제자 뒤에는 위대한 스승이 있기 마련이다. 자신을 코치하고 조언해 줄 수 있는 멘토는 중요하다. 전기를 읽어보아도 공통적인 내용은 자신을 아껴주고 바른 지적을 해주는 스승이 있었다는 사실이다. 사역은 혼자서는 할 수 없다. 때론 독단적으로 결정을 내려서 주위사람들에게 상처를 줄 수 도 있는 경우가 발생한다.

자신의 고집이 은사처럼 생각하는 나의 자아를 돌아보게 되면서 미완성의 리더로 서있는 나를 마음의 귀를 열고 주변 사람들의 음성을 듣게 하는 것 같다. 리더는 자신의 연약한 부분과 잘못을 인정할 때 주변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마무리

경찰국가가 있고, 야경(夜警) 국가가 있다. 나라의 체제나 정치발전을 이야기하는 ‘정치학 개론’에서나 언급되는 이야기들이다. 경찰국가란 법의 집행권을 지닌 경찰관들을 앞세워 인민의 자유와 인권을 탄압하면서 독재 권력을 유지하는 국가제도나 정치체제를 일컬으며, 야경국가란 백성들이 마음 놓고 잠을 자거나 생활할 수 있도록 경찰관들이 백성을 돌봐주는 가장 선진화 된 민주국가를 말할 때 사용하는 말입니다.

다산의 <목민심서>를 보면, 다산이 바라고 희망하던 세상은 야경국가의 체제였던 것으로 보인다. “토호(土豪)들의 무단적(武斷的)인 행위(깡패짓)는 연약한 백성들에게는 승냥이나 호랑이처럼 무섭다. 승냥이나 호랑이의 피해를 제거하여 양처럼 순한 백성들이 생존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목(牧)이라고 이른다.” 간략하지만 너무도 많은 뜻이 함축된 글이 아닐 수 없다.

진정한 리더는 자신의 권력으로 약한 사람을 잡는 것이 아니라, 삶에서 자신의 훈련된 속사람이 나타낼 때 진정한 지도자가 된다. 권위를 앞세워서 소리만 지른다고 해서 지도자가 될 수 있다면 이 세상에 있는 모든 사람이 리더가 되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앞에서 제시된 내용들은 좋은 가르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종종 목회자들 가운데 자신의 권위를 버리지 못하는 모습을 보게 된다. 권위라는 것이 과연 어떤 것인가? 라는 생각이 든다. 내면에 부족함을 채우기 위해서 나타내는 것인가? 혹은 자신의 과시욕을 주체할 수 없어서 인가? 라는 생각을 품으며, 양들이 바른 길로 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이 리더의 몫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교갱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